
한국디지털경제신문 우혜진 기자 |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아마존이 중국 동영상 플랫폼 틱톡의 미국 사업권 인수를 위해 제안서를 제출한 것으로 전해졌다. 뉴욕타임스(NYT)는 2일(현지시간) 아마존이 매각 기한을 앞두고 미국 정부에 공식적인 제안서를 보냈다고 보도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아마존은 이번 주말로 예정된 매각 마감일을 앞두고, 매각 절차를 담당하는 J.D. 밴스 부통령과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에게 서한을 전달했다. NYT는 아마존이 이번 인수전에서 주요 입찰자로 떠올랐지만, 미국 정부 내부에서는 이를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는 분위기라고 덧붙였다.
블룸버그 통신은 아마존이 틱톡 인수에 대한 관심을 표명하는 것만으로도 전략적 이익을 얻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다른 인수 희망자들이 더 높은 가격을 제시하도록 유도하거나, 협상 과정에서 아마존과 경쟁하는 틱톡 숍에 대한 정보를 확보하는 등의 이점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매각 시한이 임박하면서 틱톡 인수에 관심을 보이는 기업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성인 콘텐츠 플랫폼 온리팬스(OnlyFans) 창업자가 설립한 주프(Zoop)는 가상화폐 관련 단체 HBAR 재단과 협력해 인수 제안서를 제출했으며, 모바일 마케팅 기업 앱러빈(AppLovin)도 입찰에 참가했다. 또한,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의 전 구단주 프랭크 맥코트가 이끄는 컨소시엄과 오라클, 글로벌 자산운용사 블랙스톤도 틱톡 인수를 위한 방안을 검토 중이다.
틱톡은 미국 내에서 폭넓은 인기를 끌고 있지만, 국가안보 문제로 인해 미국 정부의 규제 대상이 되어왔다. 이에 따라 '틱톡 금지법'이 도입되었으며, 이에 따라 틱톡의 미국 사업권이 매각되지 않을 경우 서비스가 중단될 위기에 처해 있다.
당초 틱톡 매각 시한은 1월 19일이었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이를 5일까지 연장한 상태다. 트럼프 대통령은 필요할 경우 기한을 추가로 연장할 수도 있다고 밝혔지만, 인수 협상이 마무리되기 위해서는 틱톡의 모회사 바이트댄스와 중국 정부의 승인이 필수적이다. 바이트댄스는 틱톡의 매각에 반대하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으며, 중국 정부가 협상 과정에서 얼마나 개입하고 있는지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중국 정부가 틱톡 매각 협상에 협조할 경우, 중국산 제품에 부과된 관세를 일부 완화할 수 있다는 입장을 내비쳐 협상의 여지를 남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