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디지털경제신문 김공탁 기자 | 코인원은 지난 29일 가상자산 거래 수수료를 미리 내면 금액에 따라 할인된 혜택으로 이용할 수 있는 '수수료 얼리버드 서비스'를 출시했다고 30일 밝혔다. '수수료 얼리버드'는 가상자산 거래 수수료를 선지불하면 30일간 한도 금액 내에서 기본 수수료율(0.2%) 대비 최대 82%까지 저렴한 가격으로 이용할 수 있는 신규 서비스다. 코인원은 최소 1000원부터 35만원까지 금액대별 총 5가지 수수료 얼리버드 상품을 제공한다. 또 상품에 따라 거래 수수료를 최소 50%부터 최대 82%까지 할인받을 수 있다. 할인이 적용되는 거래 한도 금액도 100만원부터 10억원까지 다양하다. 코인원은 "자신의 월 거래 빈도 및 규모에 맞게 적합한 혜택을 선택하면 된다"며 "여러 상품을 동시에 구매하여 거래 한도 금액을 계획적으로 관리할 수도 있다"고 강조했다. 얼리버드 상품 구매 시 해당 금액만큼 보유 원화 잔고가 차감되며, 한도 금액 소진 시까지 최대 30일간 얼리버드 거래 수수료 할인 혜택이 적용된다. 35만원 상품을 선구매할 경우에는 한도금액 10억원까지 0.035%의 업계 최저 수수료로 가상자산을 거래할 수 있다. 단, 기간 내 사용하
한국디지털경제신문 김공탁 기자 | 마이데이터 전문기업 뱅크샐러드는 마이데이터와 인공지능(AI)을 결합한 자산관리서비스 ‘토핑+’을 올해 안에 출시할 계획이라고 28일 밝혔다. 마이데이터는 여러 금융사에 흩어진 자산 데이터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뱅크샐러드는 전날부터 사흘 일정으로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개막한 '코리아 핀테크 위크 2024'에서 개발 중인 토핑 버전을 공개했다. 토핑은 ▲ 스마트 브리핑 ▲ 금융 비서 ▲ 소비 분석 등 기능을 제공한다. 스마트 브리핑과 금융 비서의 경우 마이데이터를 분석한 뒤 개인이 가장 관심을 가질 금융 정보를 예상·요약해 보여준다. 사용자는 주식 자산 가치, 지출에서 생활비가 차지하는 비중 등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 토핑은 뱅크샐러드의 가계부 분석 노하우를 기반으로 개인 소비를 분석한다. 예컨대 식비 지출이 크게 바뀐 시기와 그 이유 등 다면적 질문에 답할 수 있다. 토핑은 사용자의 주식 매수 시점과 가격, 미국 주식 매도 시 양도소득세 등 투자와 관련한 고민도 해결할 수 있다. 토핑은 대규모언어모델(LLM)과 LLM 에이전트 기술을 기반으로 AI 서비스의 정확도와 신뢰도를 높였다고 뱅
한국디지털경제신문 우혜진 기자 | 블록체인 게임 플랫폼 ‘갈라게임즈(Gala Games)’가 텔레그램 미니 앱 생태계 전용 토큰인 ‘TREZ’의 출시 계획을 담은 라이트페이퍼를 공개했다고 29일 밝혔다. 전용 토큰 TREZ를 출시하고 웹3 생태계 확장을 이끌어낸다는 전략이다. 갈라게임즈는 2024년 3분기 사용자 확보를 위해 텔레그램 미니 앱 게임 개발을 시작했다. 텔레그램은 전 세계 약 10억 명의 사용자를 보유한 모바일 메신저로, 많은 사용자 유입을 끌어내기에 최적의 플랫폼이다. 최근 텔레그램과 웹3 기능을 통합한 ‘The Open Network(TON)’에 주목하여 텔레그램 미니 앱 ‘트레저 탭퍼’와 ‘뮤직코인(구 뮤직마이너)'을 출시해 뜨거운 반응을 이끌어낸 바 있다. TREZ 토큰은 유저들에게 플레이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활발한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설계됐다. 라이트페이퍼에 따르면 TREZ 토큰은 추후 더 많은 게임에 적용될 예정이다. 갈라게임즈는 향후 토큰 생성 이벤트(TGE)를 진행하고 TREZ 토큰을 갈라체인과 TON 블록체인을 통해 발행할 예정이다. TREZ 토큰 최대 공급량은 1,000억 개로 설정됐으며, 공급량의 대부분은 유저들에게 분배된다
한국디지털경제신문 우혜진 기자 | 올해 가상화폐 가격이 강세를 보이면서 상반기 말 기준 전 세계 가상화폐 백만장자 수가 1년 만에 95% 늘어나 17만여명을 기록했다는 보고서가 나왔다. 영국의 투자이민 컨설팅 업체인 헨리앤파트너스는 27일(현지시간) 자산정보업체 뉴월드웰스 등을 인용한 2024 가상화폐 자산 보고서를 통해 6월 말 기준 가상화폐를 100만 달러(약 13억3000만원)어치 넘게 소유한 자산가가 17만2300명을 나타냈다고 밝혔다. 이들 백만장자의 절반가량은 ‘대장주’ 비트코인 보유자였다. 비트코인 백만장자 숫자는 전년 대비 111% 늘어난 8만5400명이었다. 같은 기간 가상화폐를 1억 달러(약 1336억원)어치 이상 보유한 자산가는 79% 늘어난 325명, 10억 달러(약 1조3000억 원)어치 이상 보유한 자산가는 27% 늘어난 28명이었다.
한국디지털경제신문 김공탁 기자 | 부동산 조각투자 플랫폼을 운영하는 루센트블록은 금융위원회가 선정하는 핀테크 우수기업 'K-Fintech 30'(K-핀테크)에 선정됐다고 28일 밝혔다. 루센트블록은 토큰증권 플랫폼 업계에서 유일하게 K-핀테크에 포함됐다. K-핀테크는 금융위가 금융혁신을 주도할 우수기업 30개사를 발굴해 지속 성장할 수 있도록 집중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선정된 기업은 정책금융 지원한도와 금리조건 우대, 금융회사 서비스 연계지원 등 스케일업을 위한 맞춤형 지원을 받게 된다. 루센트블록은 금융위 혁신금융서비스인 부동산 토큰증권 플랫폼 '소유'를 운영하며 다양한 상업용 부동산을 유동화했고, 국내 업계 처음으로 두 자릿수 공모에 진입하는 등 다양한 성과를 보였다. 자체 분산원장 기술, 고성능 매칭엔진 거래 플랫폼, 금융결제원 오픈뱅킹 시스템 도입 등 이용자의 편의성과 접근성을 높인 것도 좋은 평가를 받았다. 허세영 루센트블록 대표는 "토큰증권 플랫폼 업계에서 유일하게 K-핀테크에 선정되며 기술력과 성장 가능성을 인정받았다"며 "책임감을 가지고 투자자에게 보다 안정적이고 편리한 투자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SK텔레콤이 비밀번호 없이 손쉽게 로그인·인증이 가능한 패스키 인증시스템을 SaaS(Software as a Service) 기반으로 도입을 원하는 기업에 제공한다고 지난 26일 밝혔다. 패스키는 비밀번호 대신 공개키 암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인증 및 로그인을 가능케 하는 글로벌 표준(W3C, Fido Alliance) 기술로, 개인 사용자는 비밀번호를 설정하거나 외울 필요 없이 이용하는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인증방식(생체 인증, 핀 번호 등)을 통해 간편하게 로그인이 가능하다. 구글·애플·MS 등 주요 글로벌 기업들이 패스키 인증을 자사 OS의 기본 인증 수단으로 채택하고 있으며, 다양한 국내외 기업들도 자사 서비스에 패스키를 도입하는 등 비밀번호가 필요 없는 패스워드리스(Passwordless) 시대가 빠르게 도래하고 있다. SKT는 지난 2023년 패스키 인증시스템을 직접 개발해 본인확인 서비스 앱인 PASS(패스)에 적용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축적된 기술력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다른 기업들이 쉽고 빠르게 패스키를 적용할 수 있도록 자사의 패스키 인증시스템을 SaaS형태로 준비해왔다. 특히 SKT는 글로벌 FIDO(Fast IDentity Online) 인